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나도 해당될까?
청년도약 계좌 들어보긴 했지만, 어디서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모르시는 분들 또는 청년 우대 통장으로 헷갈려서 가입했는데 이게 맞는 건지 궁금하신 분들 계실텐데요. 이 글에서는 실제 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신청 조건 중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해드릴게요.
청년도약계좌는 비대면 신청이 원칙이기 때문에 원하시는 은행 앱을 통해 신청하셔야 하는데요.
비대면 신청은 은행 앱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며, 현재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 IM뱅크, BNK부산은행, BNK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육아휴직급여나 군 장병급여와 같은 비과세 소득이 있는 분들은 가입 신청 마감일 기준 2영업일 전까지 신청을 완료하셔야 하니 기한 꼭 확인하세요.
저는 서민금융진흥원(국번없이 1397번)에 직접 전화하여 청년도약계좌 관련 상담(3번)을 받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기준은 무엇인가요?
이제 신청 조건을 살펴볼게요.
나이 조건은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은 전년도 국세청 신고 소득을 기준으로 확인하는데요. 신청 시점에는 전년도에 근로 활동을 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근로 활동을 하셨다면 급여소득자로 분류되며, 전년도 연간 소득이 6,300만원 이하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부모님과 함께 거주 중이라면, 가구원 수(3인, 4인)에 따라 가구 전체 소득이 합산되며, 이 소득이 1억 4,100만원 이하이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충족하셨다면, 마지막으로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데요. 이자소득, 주식한 대장 소득 등을 포함한 금융소득이 연 2,000만원을 넘는지 확인합니다.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한다면 청년도약 계좌 신청 대상이 되며, 원하는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신청은 오직 원하시는 은행 앱으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우대통장은 전혀 다른 상품이니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실제 상담에서도 “앱을 통해 신청 후 약 2~3주간의 심사가 진행된다.”고 안내받았고, 신청 → 2~3주간의 심사 → 법적으로 안내 → 계좌 개설 순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끝으로,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을 실제 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드렸습니다. 처음 신청하시는 분들이 놓치기 쉬운 부분을 짚어드렸으니 꼭 확인하시고 기간 안에 얼른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